본문 바로가기

란나글자35

하루 한 문장 3 - 유띠나이 유띠나이(유티나이อยู่ที่ไหน) 어디 살아? 유 깝 파이(유 깝 크라이อยู่กับใคร) 빡띠나이(팍티나이พักที่ไหน) 빡 깝 파이(팍 깝 크라이พักกับใคร) 누구는 깜므앙(파이), 태국어(크라이) บ(버 마이 마이)가 받침으로 들어갈 때는 아래와 같이 변화한다. 2022. 6. 22.
하루 한 문장 2 - 쪽디미짜이 촉디미차이โชคดีมีชัย 깜므앙 발음으로는 쪽디미짜이โจคดีมีจัย! 행운이 함께 하기를... 신나는 노래와 함께 촉디미차이, 루아이รวย!! 루아이รวย!! 루아이รวย!! 커하이촉디미차이ขอให้โชคดีมีชัย! 깜므앙은 커하이쪽디미짜이ขอหื้อโจคดีมีจัย! https://www.youtube.com/watch?v=Qvu7PS3qiVU 란나글자로 써보면, 2022. 6. 21.
란나 글자로 하루에 한 문장 1 란나 글자(문자)를 하루에 한 문장씩하여 100일간 써본다면 어느 정도 읽고 쓰는 것에는 익숙해지겠지? 조금씩 다르게 쓰기도 하는 부분들이 있던데 어떻든 읽을 수 있는 수준까지 계속해볼 생각이다. 이제 조금씩 그리는 수준에서 쓰는 수준으로 바뀌고 있기는 한데... ㅋㅋㅋ 좋은 하루 되세요! 커하이 완니 뻰 완티 디 ขอให้วันนี้เป็นวันที่ดี 행복한 하루 되세요! 커하이 완니 뻰 완티 미쾀쑥ขอให้วันนี้เป็นวันที่มีความสุข 깜므앙으로 하이ให้는 흐หื้อ로 하여 커흐 완니 뻰 완띠 디 ขอหื้อวันนี้เป๋นวันตี่ดี 커흐 완니 뻰 완띠 미 쾀쑥ขอหื้อวันนี้เป๋นวันตี่ความสุข 태국어와 대체되는 글자에 집중하여 틀리든 말든 계속 써볼 생.. 2022. 6. 20.
왜 안 읽히나 했던 몇 단어 정리 이제 기본적인 글자들은 파악 완료! 그런데 도저히 읽는 방법이 애매한 단어들이 있어 보니, 특별한 경우들이었음. 기억해두어야 할만한 단어들 버마บ่ 버미บ่ 꺼마ก็มา 꺼미ก็มี 버디บ่ดี 꺼디 ดี 래오แล้ว 빠이마ไปมา 츠와ชื่อว่า 래แล 믈런 더 있지만, 일단 자주 보는 단어는 이 정도! 2022. 6. 18.
'란나'와 '캄므앙' 글자를 뜯어보자. 글자를 익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쉬운 글자부터 하여 익숙하게 만든 후 반복에 반복을 하는 것! 란나ล้านนา와 캄므앙คำเมือง의 글자 하나 하나를 뜯어 낸 뚜아므앙ตั๋วเมือง을 보자. 란나ล้านนา는 ล้ า น น า 캄므앙คำเมือง은 คำ เ มื อ ง으로 되어 있다. 이를 각각 뚜앙므앙으로 바꾸어보면 아래와 같다. 이러다 자음과 모음 이름도 알게 되겠군. 글자만 조금 다르고 자음이 받침으로 들어갈 때 모양이 살짝쿵 바뀌는 것만 이해하면 그렇게 어렵지는 않다. 않을 것이다. 그리고 된발음들이 많이 나온다는 것, 빠까따짜 그래서 전화로 들리는 깜므앙이 재미있었나보군. 나 นา의 경우는 글자 하나로 줄여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렇게 줄이는 경우는 2개 정도가 있을 뿐이다. 깜므앙과 란나가.. 2022. 6. 12.
란나 글자 깜므앙 도전! 태국 북부 란나는 란나 말과 글자를 가지고 있다. 그것을 깜므앙กำเมือง(캄므앙คำเมือง), 뚜아므앙이라고 한다. 캄므앙의 북부 말이 깜므앙으로 คㅋ이 กㄲ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난 태국어 자음 하나 하나를 뭐라고 부르는지는 모른다. 음가 정도 즉 어떤 발음이 나는지만 안다. 꺼까이ก 하다가 포기했던 기억이... 하지만 태국 글자를 읽고 쓸 수는 있다. 익힌 방법은 돌아다니며 만나는 모든 태국어 간판을 찍어두고 매일 다양한 사람들에게 다양한 발음으로 어떻게 읽는지 계속하여 물어 보았다. 그리고 라인을 통해 태국 자판을 외우게 되고 같은 단어를 반복하여 쓰다보니 자연스럽게 쓸 수도 있게 되었다. 물론 모르는 글자가 아직도 있으나 모르는 글자는 일상 생활 수준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글자,.. 2022. 6. 12.
란나 숫자는 어떻게 쓸까? 태국어도 나름의 숫자 표기가 있고, 라오, 크메르, 미얀마 모두 나름의 숫자 표기가 있는데, 란나 글자도 그럴까? 그렇다! 1부터 10, 20(싸오)까지! 미얀마어와 거의 유사하다. 6과 9는 반대로 표기하면 되고, 10은 씹, 20은 싸오 란나어는 6성조라고 한다. 성조, 그게 뭐지?? 난 음치라 그런가 성조가 하나 같은데, 대충 비슷하게 따라하면 된다. 성조 신경쓰면 하다가 포기할 수도... 내년엔 치앙 뚱을 가볼 생각인데, 미얀마어와 더불어 란나글자(따이르, 따이큰도 사용)에 조금 더 관심을 가져볼 생각이다. 2022. 6. 4.
란나 글자를 읽으려 치앙 뚱의 타이큰 언어 공부 중 외국어는 간판을 통해 눈에 익히는 방법을 주로 사용했는데, 란나 글자는 접할 일이 거의 없다보니 재미가 없었는데, 틈틈히 치앙 뚱의 유투버가 가끔씩 올리는 그림을 보면서 천천히 익숙해지려하고 있다. 그 외에도 치앙 뚱 유투버 구독을 통해 조금씩 조금씩 진전을 보고 있다. 치앙마이 등 란나에서 사용하던 글자는 잠시 잊혀졌다가 최근들어 다시 활성화시키려 하고 있다. 란나 2대 차이쏭크람의 아들 타오 남투엄이 반란 혐의 후 쫓겨난 곳이 치앙 뚱(켕퉁)으로 그를 이어 동생 쿤 남난이 짜오파(싸오파)로서 왕위를 이어가며 망라이의 또 다른 왕조가 란나보다 오래 이어져갔다. 그래서일까 이곳에서는 란나 글자가 아직도 사용되고 있다. 말은 달라도 글자는 같다. 글자가 같다는 것은 읽는 법이 그대로 남아있다는 소리이기도 .. 2022.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