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inme Yazawin 찐메 야자윈(ဇင်းမယ် ရာဇဝင်)
찐메는 치앙마이, 야자윈은 역사, 연대기를 말하는 단어로
18세기에 쓰여진 버마가 란나를 지배했을 당시를 기록한 버마 역사서이다.
그에 따르면,
치앙마이가 상서로운 지역인 이유로 7가지를 들고 있다.
1. 하얀 쥐사슴 가족이 숲에서 나왔으나 사람들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2. 머리와 등을 따라 하얀 반점이 있고, 하얀 네 다리를 가진 빨간 털 쥐사슴 가족이 숲에서 나와 병사들을 쫓아왔다.
3. 서쪽에는 원주민인 라와족에게 신성할 뿐만 아니라 하리푼차이의 전설적인 창조자인 은둔자 수데와(수데바, 쑤텝)의 거처로 몬족 사람들로부터도 숭배되는 도이쑤텝이 위치하고 있다.
4. 산 정상에서부터 흘러내린 물은 개울을 따라 북으로 가다가 방향을 바꿔 동쪽으로 그리고 다시 남쪽으로 흐르다가 마침내 서쪽으로 흘러가며 지역을 자연적으로 방어하는 형태를 갖추고 있다.
5. 지형적으로도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은 서고동저로 좋은 위치를 점하고 있다.
6. 동쪽으로 흐르는 개울은 상서로운 지역의 동쪽에 위치한 매삥을 근접하여 따라 흐르며 남쪽으로 돌아나간다.
치앙다오에서 발원하여 동쪽방향에서 돌아 끊임없이 흐르는 매삥도 하나의 상서로운 징조가 된다.
7. 북동쪽에는 동물들이 물을 마시고 목욕을 할 수 있는 거대한 호수가 있다.
앞서 언급한대로 어미 사슴과 새끼 사슴이 숲에서 나와 늑대 또는 개의 무리를 만났으나 전혀 두려워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있고 조금씩 다른 이야기들이 있긴 하다.
하지만 대부분 비슷한데 위의 7가지를 보면,
따이족이 선호하던 지역적인 특징인 산과 강의 배치가 두드러진다.
그리고 치앙마이의 특징으로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물과 관련된 것으로
7가지 상서로운 이유 중 4가지가 모두 물과 관련되어 있다.
도이쑤텝 정상에서부터 흘러나와 지역 전체로 퍼지며 북동쪽에서는 호수를 만들고 동쪽으로 갔다가 남쪽으로 그리고 다시 서쪽으로 돌아나가는 자연 요새적인 흐름이 주목되며
또 하나는 산기슭으로 물이 고였다가 다시 시내 중심으로 흘러들어갔다가 빠져나가는 흐름으로 지역 전체에 물을 풍부하게 공급해주고 있는 흐름이다.
1번 도이 쑤텝과 2번 도이 뿌이에서 발원된 물들이 개울을 타고 평야지대로 흐르는 모습이다.
5번은 위앙 쩻린 - 원형으로 만들어진 위앙
6번은 위앙 수아독 - 수안독 사원을 중심으로 한 위앙
7번은 치앙 마이
치앙 마이 성벽 안으로는 농사를 짓지는 않았을테니
해자에 물을 가둬두며 홍수 조절과 방어 기능을 수행하면서
시내 주변을 흐르는 개울과 강 등은 성외 지역에 물을 공급하며 작물재배를 가능하게 했을 것이다.
물의 흐름을 중심으로 치앙 마이를 보면,
왜 위앙 꿈깜이 홍수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었는지도 파악이 가능하다.
물론 매삥이 지금보다 더 가까이 위앙 꿈깜에 붙어 흘렀다고 하는데,
그것은 위앙 꿈깜의 배치가 하리푼차이 도시건설의 영향으로 한쪽을 매삥에 붙어 건설하였을 것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도이 쑤텝 정상부터 흘러나오는 풍부한 수량이 매삥의 수량과 더해져 우기때마다 범람이 일어났을 것이다.
그에 비하면 치앙 마이의 위치는 그러한 정도의 범람과는 거리가 있었을 것이고,
또 북동쪽의 늪이나 호수 그리고 위앙 쩻린 부근의 저수지, 위앙 수안독 등의 해자와 치앙마 마이의 해자는 홍수 방지의 역할도 했을 것이다. 해자나 성벽, 개울 등이 현재 치앙 마이에서 보고 있는 수준의 것이 아니었을 것은 분명하다.
위앙 쩻린과 저수지도 마찬가지고,
원형의 성벽 건설
쌈팡깬 왕이 건설했다고도 하나 그 이전 라와족 시대의 터전이 아니었을까 생각되며,
위치적으로도 라와족 이야기에서 나오는 위치와 같고,
토속 신앙 흔적이나 미얀망의 치앙 뚱(켕퉁) 지역에도 있었다는 라와족의 원형 도시 건설과도 같이 생각한다면
라와족이 건설한 터전이었을 것이다. 쿤 루앙 윌랑카가 떠오르는 지역이다.
개인적으로 위앙 쩻린을 좋아한다.
여기만 나오면 자꾸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근질 근질...
치앙마이 건설 조건들을 이야기하다 또 이리로 왔네 ㅋㅋㅋ
뭐 치앙마이 도시 건설과 물의 흐름과도 관련이 있는 곳이니...
사진 왼쪽 위에서 부터
위앙 쩻린, 위앙 수안독, 치앙마이, 위앙 꿈깜이다.
아무튼 치앙마이 도시 건설은 도이 쑤텝에서 발원되는 풍부한 물의 흐름과도 관련이 있다! 라고 결론내리며 넘어가보련다.
'란나 역사ประวัติศาสตร์ล้านนา > 란나 치앙마이 건설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라이는 왜 치앙마이를 선택했을까? (0) | 2022.01.30 |
---|---|
치앙마이 도시 완공 1296년 4월 19일 04:00 (0) | 2022.01.28 |
치앙 뚱과 하리푼차이 공격으로 본 망라이의 전술은? (0) | 2022.01.08 |
치앙 뚱(เชียงตุง, 켕퉁, 짜잉 똥)과 망라이 (2) | 2022.01.07 |
망라이, 아이 파에게 하리푼차이를 위임하고, 위앙꿈깜으로 이전하다. (0) | 2021.12.01 |
댓글